2020. 3. 19. 11:03ㆍFX Trading/기술분석
MACD 활용한 매매전략
기술분석 확산지수(MACD)
MACD는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의 약자로 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는 이평선을 이용하여 새로운 추세의 강세 및 약세 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장점으로는 추세를 찾아서 트레이딩을 함에 있어 큰 수익을 만들 수 있다는 것 입니다.
MACD 차트에서는, 다음의 3가지를 관람하셔야 합니다.
첫번째는 선도적인 이동평균선 (파란색)
두번째로는 후행성의 이동평균선 (빨간색)
세번째는 선도적과 후행성의 이동평균선의 격차를 나타난 막대그래프. 예를 들어, "12, 26, 9" 라는 MACD의 매개변수(보통의 차트 소프트웨어의 기본 셋팅) 가 있다면 이는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습니다.
12 값은 지난 12개 바의 빠른이평선을 나타냅니다.
26 값은 지난 26개 바의 느린이평선을 나타냅니다.
9 값은 지난 9개 바의 두 이평선의 격차를 나타냅니다.
히스토그램은 단순하게 빠른 이평선과 느린 이평선의 격차를 표현해 논 것이며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두 이평선이 벌어질수록, 히스토그램 역시 커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두 이평선이 가까워질수록, 히스토그램은 가까워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MACD 사용하여 거래하는 방법
여기에는 두개의 이평선이 존재하며 이를 '스프레드' 라고 하며 더 빠른 선이 가격변동에 더 빠르게 반응하게 됩니다. 여기서 새로운 추세가 시작하게 되면, 더 빠른 선이 먼저 반응하여 결국에는 느린 선을 넘어 서는 '크로스오버"가 발생합니다. 또한 빠른 선은 확산 또는 수축을 하게 되어 새로운 추세를 만들어 냅니다.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빠른 선이 느린 선 밑으로 내려갈때 새로운 하향세가 시작함을 볼 수 있으며 히스토그램도 일시적으로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두 선의 격차가 일시적으로 0이 되기 때문입니다.
위의 차트는 EUR/USD의 1시간 차트입니다, 선도적인이 후행성적인선을 크로스오버를 하면서 히스토그램은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EUR/USD의 새로운 상향 트렌드가 시작하는 것 입니다.
'FX Trading > 기술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실레이터와 모멘텀 지표 (0) | 2020.03.19 |
---|---|
볼린저밴드 전략 (0) | 2020.03.19 |
파라볼릭 추세읽기 (0) | 2020.03.19 |
RSI 매매전략 (0) | 2020.03.19 |
ADX 분석 (0) | 2020.03.19 |